2008년 12월 31일 수요일

Posting From Springnote

스프링노트에서 블로그 쓰기


스프링노트와 블로그가 연동된다. 블로그보다 스프링노트에서 글을 쓰는 게 훨씬 편하다. 제한된 크기의 포스트 편집 영역보다 전체 페이지 편집 모드가 훨씬 편하기도 하고, 스프링노트의 시맨틱한 마크업도 마음에 든다.


이 글은 스프링노트에서 작성되었습니다.

2008년 12월 23일 화요일

Full-Sized Blogging

두 달 전쯤, 누군가 블로그는 끝났다는 이야기를 꺼냈다. 블로고스피어는 들끓었고, 내게는 포스팅의 계기가 되었다. 하지만 그 고민은 일상과 업무 속에 금새 잊혀졌다. 그리고 나는 XE 기반의 블로그 소프트웨어 기획을 거의 끝내간다.

새 소프트웨어지만 새롭지는 않다. '진지한' 블로거들이 보다 편하게, 짜임새 있는 포스트를 쓸 수 있도록 새로운 기능들을 넣는다. 하지만 기본적으로는 이미 널리 쓰이는 워드프레스나 텍스트큐브와 비슷하다.

그런데 집중이 잘 되지 않는다. 일은 늘어지고, 생각은 사방팔방으로 튄다. Twitter와 Tumblr, FriendFeed와 FaceBook에 자꾸 눈길이 간다. 마이크로 블로그나 미니 블로그는 "풀-사이즈" 블로그보다 훨씬 동적이고 재미있다. 한 마디로 매력적이다.

(머리를 세게 흔들며) 정신 차리자. 닥친 일에 집중하자.

2008년 12월 10일 수요일

Fusion : Blog + Microblog

블로그와 마이크로블로그를 하나의 시스템으로 합쳐보면 어떨까?

언뜻 생각해보니 그럴싸한 그림이 나온다. 블로그의 비교적 긴 발행주기 사이의 빈 틈을 마이크로블로그가 메워줄 수 있을 테고, 마이크로블로그의 민첩함으로 글감들(정보나 생각)을 모아놓고 이를 조합하고 연결하여 블로그 게시글을 쓸 수도 있다. 또한 자연스럽게 신변잡기를 블로그로부터 분리해내는 효과도 있을 것이다.

서로 다른 형식의 데이터 스트림을 하나의 시스템에서 다루려면, 사용자 인터페이스 설계에 있어 추가로 신경을 써야 할 부분이 많다. 두 개의 콘텐트 타입을 동등한 지위로 다루기 보다는 主附의 관계를 확실히 하는 편이 이해하기에나 쓰기에나 좋을 것이다.

그러나 가장 큰 문제는 이것이다. 과연 사람들이 다듬어지지 않은 글감들을 공유, 아니 발행하기를 원할까? 구독자들이 미완성의 조각들에 피드백을 줄까? 답이 모두 "No"라면, 글감 관리 기능은 관리자 페이지 뒷쪽으로 숨기는 것이 맞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