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9년 3월 30일 월요일

People Go Where People Are

어떤 소셜 네트웍 서비스가 (예를 들어 페이스북이) 왜 그렇게 급성장을 하고 있냐는 질문을 던졌을 때, 분명히 누군가는 이 오래된 격언을 들먹인다.

"People go where people are."

이미 사람들이 모여 있는 곳에 더 많은 사람이 꼬인다는 얘기다. 富益富 貧益貧이랄까? 틀린 답이라고 할 수는 없지만, 그렇다고 별 도움이 되는 답변은 아니다. 하지만 여기에 몇 가지 구체적인 질문을 추가해보면 어떨까?

What People? Who?
어떤 장소에 사람들이 모여 있다는 이유 만으로 그곳에 가는 일은 거의 없다. (뭔데? 무슨 일로 사람들이 이렇게 모여 있는 건데? 하는 단순한 호기심이 아니라면.) 당신은 당신이 아는 누군가가 있기 때문에 그곳에 간다. 개인적으로 아는 사람이건, 유명인이건. 꼭 구체적인 인물일 필요도 없다. 어떤 프로필을 충족하는 사람들이 있을 거란 기대만으로 사람들은 모여든다. "우리 반 아이들"일 수도 있고, "자전거를 좋아하는 사람들"일 수도 있다. "엄마들"일 수도 있고, "오덕들"일 수도 있다. (각각의 예에 맞는 서비스가 떠오르는가?)

Doing What?
자, 사람들이 모였다. 그냥 가만히 앉아있을까? 아니, 사람들이 모이면 그들 사이에 오고 가는 게 있다. 크게 정보와 잡담 두 가지로 볼 수 있을 것이다. (물과 기름처럼 명확히 분리되지는 않지만.) 정보의 공유는 공동체 의식이 있어 가능하다. 여기서 공동체 의식이란, 쉽게 말해 내가 무언가를 주면 나 역시 받는 게 있을 거라는 믿음이다. 잡담은 이 공동체 의식을 더 끈끈하게 해주며, 정보에 부가가치를 더한다. 잠시 스스로 생각해보자: delicious와 twitter에서 같은 내용의 링크를 발견할 경우, 클릭할 확률은 어느 쪽이 높을까?

What for?
사람들이 있다는 이유 만으로 거기에 가지는 않는다. 어떤 사람들이 모여, 무언가를 하고 있기 때문에, 무언가를 얻기 위해 그곳에 가는 것이다. 나를 보아줄, 내 이야기를 들어줄 사람이 필요해서; 필요한, 혹은 재미있는 정보를 얻기 위해서; 여럿이 아니면 할 수 없는 무언가를 위해서 우리는 그곳에 간다.

자, 이제 앞의 질문에 다시 대답해보자. 페이스북에 사람들이 모여드는 이유는: 내가 실생활에서 알고 지내는 사람들이, 그곳에서 자신의 일상과 생각을 중심으로 소통하고 있고, 나 역시 그들에게 나의 삶을 공개함으로써, 인정과 반응을 얻고 외로움을 덜기 위해서다. 흐음... 완벽하지는 않지만, 적어도 "사람들이 쓰니까"라는 대답보다는 나아졌다. 그 정도면 '소셜 웹 기획자'라고 불러줄 수 있겠다.아직 '초짜'라는 딱지는 붙겠지만. =)

2009년 3월 23일 월요일

SNS Log - Afterthoughts

  1. 쓰고 나니 정말 의미 없는 글들이었다. 트위터 쓰면서 블로그 구독자들이 생겼다고 괜한 욕심을 부렸구나. 쵸큼 후회.
  2. 살펴본 5개의 도구들 모두, 쓰기에 따라 정보관리도구도 되고 소통도구도 된다. 그야말로 "생각대로 되는" 도구들이다. 블로그를 무어라 정의할 수 없어 애먹었던 옛 기억이 떠오른다.
  3. 페이스북을 싸이월드와 비슷하다고 자신있게 말했지만, 사실 나는 싸이월드조차 제대로 써본 적이 없다. 그러니 믿거나 말거나.
  4. 텀블러, 트위터, 페이스북 모두 휴대폰을 위한 이메일 또는 SMS 포스팅을 지원하지만, 국내에선 (특히 KTF 휴대폰에선) 안된다. 결국 반쪽짜리 사용기다.
  5. 텀블러와 비슷한 마이크로블로깅 서비스는 정말 많다. 하지만 내가 써본 중에선 텀블러가 가장 좋다. 좀 느리긴 하지만.
  6. 일주일 간 페이스북만 쓰겠다고 선언해놓고, 트위터 못 써서 답답해 죽는 줄 알았다. 뭐, 100% 충실히 이행하지는 않았지만... 아무튼!
  7. 미투데이는 살펴본 5개 도구들 중 유일하게 (스마트폰 이전의) 모바일 사용을 거의 완전하게 지원한다. 이것 하나만으로도 미투데이는 굉장하다!
  8. 이동통신사들은 문자 메시지도 쥐고 있고, 주소록도 쥐고 있는데 왜 미투데이나 트위터를 만들지 못했을까? 왜 만들지 못할까? (아, 있긴 있구나...)
  9. 페이스북은 트위터와, 프렌드피드와, 미투데이와, 텀블러를 모두 더해놓은 플랫폼 같다. 이런 점이 내 개인적인 성향과 안 맞아서 그렇지, 일반 사용자들에겐 편하고 좋은 점 아닐까?
  10. 사용하는 도구들, 정보취득 채널들을 계속 줄여가고 있다. 1년 뒤에 나는 이들 5개 서비스 중 몇 개나 계속 쓰고 있을까?

SNS Log Part 5) Facebook

다섯 번째이자 마지막입니다. 오늘의 주인공은 페이스북.
  1. FriendFeed
  2. Tumblr
  3. me2day
  4. Twitter
  5. Facebook
5. Facebook 페이스북

재작년(2007)에 가입했지만 쓰지는 않았다. 가끔 친구신청이 들어올 때마다 허락하러 들어갔을 뿐. 블로고스피어를 통해 동향만 파악하고 있었다. 막연히 마이스페이스나 싸이월드와 비슷한 소셜 네트웍 서비스라고 생각했다. 그러다 허구(정현주)의 코멘트에 "삘 받아" 지난 한 주간 열심히 써봤다. 아아, 써보지도 않고 그저 싸이월드 비슷하다 말하다니 나는 얼마나 무책임했던가! 이제는 자신 있게 말할 수 있다. FB는 기본적으로 싸이월드와 비슷한 서비스라고.

내 다른 웹 활동들을 FB로 끌어들이는 것부터 FB 체험주간을 시작했다. 플릭커, 트위터, 딜리셔스... 예전에는 친구들을 통해 새로운 어플을 발견하기가 훨씬 쉬웠던 것 같은데. 이번엔 하나하나 검색 후 추가해야만 했다. 어플을 설치할 때마다 권한 설정을 묻는데, 매번 바짝 긴장하게 되지만 내가 지금 뭘 하고 있는 건지 완전히 이해할 수는 없었다. 게다가 개편 탓인지 많은 어플들이 제대로 동작하지 않았다. 이런 얼어죽을... @$!%^!

그 다음은 네트웍 정비. 친구의 친구들을 둘러보며 관계를 확장하기는 쉬웠다. 하지만 공통의 취향이나 관심사를 통해 발견한 낯선 이에게 친구신청을 하긴 어려웠다. 거절 당하면 어쩌나? 생판 모르는 사람의 신청을 받아줄까? 나 역시 '공통의 친구 mutual friends'가 없는 친구신청을 받은 적이 없는데... 대부분의 사용자들은 친구에게만 프로필을 공개하는데, 이런 사람들에게 친구신청을 하는 건 더더욱 어려웠다. (아니 뭘 알아야 신청을 하던가 말던가 하지!?)

트위터보다 강력한 프로필 업데이트 기능은 만족스러웠다. 바로 사진을 찍어 올릴 수도 있고(플릭커 연동은 끝내 못 찾았지만), 링크 URL이 160자에 포함되지도 않는다. 댓글도 달 수 있고, 미투처럼 Like 할 수도 있다. (잠깐! 트위터의 하트, FB의 Like, 미투데이의 미투 중 가장 강력한 건 미투다. 미투 히스토리도 쉽게 볼 수 있고, 주는 사람, 받는 사람에 제 3자들까지도 미투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여기에 비하면 트위터의 하트는 반쪽인 셈이다.)

일반적인 FB 사용자들이 주로 쓰는 기능은 담벼락과 사진첩이다. 담벼락은 싸이월드 미니홈피의 일기장과 방명록을 합친 것이다. 이메일이나 문자 메시지로 할 법한 대화들이 공개적으로 오고간다. 그리고 프로필: 예상보다 많은 사람들이 자신의 시시콜콜한 취향과 생년월일을 공개해놓고 있었다. 왜!? 이성친구를 찾기 위해서다. 정성 들인 프로필과 사진첩은 만남을 위해 필수니까. 다시 한 번, 싸이월드다.

(마지막회라고 끊지도 않고 마구 쓰는구나. 아아, 읽는 분들께 쵸큼 죄송~)

트위터의 공개 API 덕분에 수백 개의 어플들이 트위터 밖에 생겨났다. FB는 서비스 안에 수많은 어플들이 들어올 수 있게 허락한다. 흥미로운 차이다. 당연히 서비스 안에 여러 부가기능들이 있는 게 편할 것 같지만, 꼭 그렇지만도 않더라. 이런 구조는 내게 FB을 이해하지도, 잘 활용하지도 못하고 있다는 부담감을 주며, FB과 어플 사이에 gap(seam)이 있어 전반적인 UX 품질을 떨어뜨리기도 한다. (이 문제는 사용기간이 길어지면 완화될 것 같기도 하다.)

겨우 일 주일 써보고 FB이 이렇네 저렇네 하는 게 참 웃긴 일이다. 하지만 어쩌랴. 약속은 약속인 것을. 이것으로 5회에 걸친 나의 지극히 개인적인 SNS 탐방기(?)를 마친다...... 마쳐도 되나? 추가로 다섯 개 서비스를 비교해보면서 뭔가 의미심장한 결론을 내놓아야 하는 거 아닌가? 흠.

2009년 3월 19일 목요일

SNS Log Part 4) Twitter

네 번째: 트위터에 대해 얘기할 차례네요.
  1. FriendFeed
  2. Tumblr
  3. me2day
  4. Twitter
  5. Facebook
4. Twitter 트위터

가입은 작년 2월에 했지만, 올해 1월 14일부터 쓰기 시작했다. 두 달 동안 226개의 '트윗'을 올렸다. 90명을 follow하고 있으며, 130명이 나를 follow하고 있다. 하루에도 몇 번씩 들락거린다. 심지어 스마트폰도 아닌 휴대폰 WAP까지 동원해서! 메신저나 실시간 알림을 귀찮아하지 않았다면 전용 클라이언트를 쓰고 있었을 거다. 한창 미투데이에 빠졌을 때도 이렇게까지 열심히 쓰지는 않았다.

트위터에 들어가면 사람들이 '거기에 있는' 느낌을 받는다. 마치 파티 같다. 넓은 실내에 사람들이 삼삼오오 서서 대화를 나누고 있다. 가까이 다가가 대화를 듣다가 슬쩍 한 마디 던지며 끼어든다: "저는 아이폰보다는 팜 프리가 기대돼요. Web OS라니, 멋지지 않아요?" 대화는 그것으로 끝날 수도 있고('아이폰을 두고 팜이라니, 바보로군!'), 누군가 대답하며 이어질 수도 있다. ("역시 안드로이드가 좋지 않겠어요?")

국내 트위터 네트워크의 메가 허브 격인 허진호 박사님을 통해 (다른 네트웍에서는 어지간해서는 만나기 힘든) 업계 사람들과 인연을 맺게 된 것이 내가 트위터에 빠져드는 데에 결정적으로 작용했다. 거기에 Hyun_Chung, namho님 등의 주옥 같은 트윗들을 만나면서 나의 '트위터 사랑'은 더 커졌다. 회사의 장벽, 국가의 장벽을 넘는 소통이 트위터에선 가능하다. (페이스북도 글로벌 플랫폼이지만 외국인들과 '프렌드'가 되기는 쉽지 않다. intimacy 레베루가 다카이카라!)

얼마 전 누군가의 블로그에서 읽은 경구가 있다: "The Less is New More". 이것이야말로 내가 페이스북보다 트위터를 좋아하는 이유다.

To be Concluded......

2009년 3월 18일 수요일

SNS Log Part 3) me2day

자, 오늘은 미투데이를 살펴보도록 하죠.
  1. FriendFeed
  2. Tumblr
  3. me2day
  4. Twitter
  5. Facebook
3. me2day 미투데이

요즘 내 미투데이는 테트리스 로그로 변신했다. 테트리스가 요즈음 나의 대표적인 일상이기 때문이다.미투데이는 일상을 기록하고 공유하는 한 줄 블로그다. 모바일 연동이 귀한 대한민국에서 별 문제 없이 SMS, MMS 연동이 되는 (적어도 내가 쓰는 서비스 중에서는) 유일한 서비스다. 휴대폰 메시지 지원을 잘해주는 덕분에 자잘한 일상을 생생하게 기록하기에 더없이 좋다. (쫌 너무) 복잡한 토씨, 입력창 하나 열려있지 않은 하루 등과 비교가 안될 정도로 간결하고 편하게 만들었다.

링크 걸기가 불편하긴 하지만, 정보 공유용으로 쓰기에도 나쁘지는 않다. 적지 않은 사람들이 링크와 함께 자신의 코멘트를 올린다. 말하자면 원격 뉴스 댓글인 셈. 당연히 포털 뉴스에 달리는 댓글보다 품질이 좋다. 미투데이가 viral 정보 플랫폼으로 기능하는 데에 가장 큰 공헌을 한 것은 (존재감이 희미한) 북마클릿보다는 "미투"라는 장치다. 이 작은 액션이 정보 소비자에게는 북마크로, 정보 제공자에게는 피드백으로 기능한다. (미투데이라는 서비스의 핵심 아이덴티티 요소이자 문화적 아이콘이기도 하다.)

자, 이제 문제점. 내가 겪고 있는 문제는 네트웍의 모호함이다. 나는 210명과 친구관계를 맺고 있다. 여기엔 퍼스널 네트웍(친구들), 프로페셔널 네트웍(업계 지인들), 그리고 만박을 통해 친구가 된 "서로 모르는 남남"들이 섞여있다. 나는 어떤 때는 친구들을 의식해 나의 자잘한 일상을, 때로는 업계 지인들을 위해 뉴스 링크를 올린다. 하지만 친구들에게 링크는, 업계 지인들에게 내 일상은 원치 않는 정보일 것이다.

그러다보니 잡음이 많다. 나 역시 친구들의 글을 잘 읽지 않는다. 모르는 사람도 많고 올라오는 글도 많은데, 읽을 만한 글 몇 개를 건지려고 그 많은 데이터를 스캔할 수는 없다. (예외적으로 아내의 미투데이 피드만 구글 리더로 구독한다. 놓치면 안될 일상이니까.) 얻는 게 있어도 비용이 크면 버리는 게 상책이다.

미투데이는 좋은 서비스다. 앞에서도 말했지만 일상을 기록하고 공유하기엔 이만큼 좋은 도구가 없다. 블로그? 텀블러? 아니, 지금 내겐 미투데이가 유일한 답으로 보인다. 그런데, 일상의 기록과 공유라... 이게 정말 내게 필요한 건가? 앞으로도 계속하게 될까? 응. 적어도 당분간은 그럴 것 같다.

To be Continued...

2009년 3월 17일 화요일

SNS Log Part 2) Tumblr

오늘은 텀블러를 살펴볼까요?
  1. FriendFeed
  2. Tumblr
  3. me2day
  4. Twitter
  5. Facebook
2. Tumblr 텀블러

텀블러는 흔히 'microblog'로 분류되지만, 'tumblelog'라는 자체 카테고리를 갖고 있기도 하다. (나는 종종 텀블러를 'mini-blog'라고 부른다. In between maxi & micro. Get it? =) 블로그가 여러 개의 콘텐트 조각들을 엮어 하나의 긴 게시물을 발행하는 도구라면, '텀블로그'는 콘텐트 조각들을 수집하는 동시에 바로 발행하는 도구다. 편집 단계가 없이 마음에 드는 콘텐트 조각을 발견했을 때 바로 발행으로 연결된다는 것이 텀블러의 매력이다.

텀블러는 북마클릿을 통해 지금 내가 보고 있는 웹페이지에 포함된 사진이나 동영상을 간편하게 수집하게 해준다. (덕분에 텀블러에는 수많은 '이미지 북마커'들이 있고, 나는 더 이상 ffffound!를 찾지 않는다.) 나는 텀블러를 쓰는 아내와 공유하기 위해 멋진 이미지나 동영상을 스크랩하거나, 친구를 위해 링크나 텍스트를 스크랩한다. 가끔은 짧은 글을 올리기도 한다. 블로그에 올리기엔 하찮고, 미투데이나 트위터에 올리기엔 너무 긴 그런 글들을. 그런 다음 트위터에 링크를 날리기도 한다.

텀블러는 댓글 기능이 없다. 그 대신 'like'와 'reblog'가 있다. 'reblog'는 트위터의 'retweet'과 비슷하다. 마음에 드는 게시물을 내 텀블러에 담는 동시에 내 구독자들에게 전파한다. (이때 내 코멘트를 첨가할 수 있는데, 이 코멘트는 게시물의 일부가 되어 'reblog'를 통해 함께 전파된다.) 내가 구독하는 18개의 텀블러 중 대다수는 'reblog'를 통해 발견한 것들이다.

내 텀블러의 제목은 "이나무의 스크랩북"이다. 그러나 여기에 스크랩 된 콘텐트 "조각"들은, 네이버 블로그 스크랩북(펌북)에 담기는 게시물과는 달리, 맥락에서 분리되고 modular해서 보다 리믹스에 적합한 조각들이다. 아아, 정말이지 기대되는 플랫폼이다!

To be Continued......

SNS Log Part 1) Friendfeed

몇 개의 소셜 네트웍 서비스들(SNS)을 내가 어떻게 활용하고 있는지, 어떤 가치를 얻고 있으며 어떤 점이 아쉬운지 가볍게 소개하는 연작 포스팅을 시작한다. (포스트 한 개로 쓰려니 너무 길어져서 나라도 안 읽겠더라.) 가벼운 마음으로 봐주시고, 여러분의 사용 경험도 나눠주세요!
  1. FriendFeed
  2. Tumblr
  3. me2day
  4. Twitter
  5. Facebook
1. FriendFeed 프렌드피드

FriendFeed (이하 FF)는, 전문용어로 얘기하자면 (흠흠), "퍼스널 피드 어그리게이터 personal feed aggregator"다. 내가 생산하고 수집하는 모든 정보를 한 곳에서 보여준다. 누구든지 내 FF 페이지에 오면 내 블로그, 딜리셔스, 미투데이, 플릭커, 구글리더, 텀블러, 트위터, 유투브, 페이스북에 업데이트 되는 내 온라인 활동을 한 눈에 볼 수 있다. 나는 27명의 FF를 구독하고 있으며, 30명이 내 FF를 구독하고 있다.

FF는 사람보다는 정보 중심의 도구다. 각 항목마다 댓글을 달 수 있지만, 워낙 막대한 양의 정보가 "흘러가고" 있어 대화가 들어설 틈이 없다. 정보 취득을 위한 "Professional" 피드들과, 일상 공유 및 소통을 위한 "Personal" 피드들을 분리해서 쓰기를 사용자들에게 권하지만, 나는 이 그룹 기능을 잘 사용하지 않는다. 아마도 다목적 도구로 여러 가지를 처리하기 보다는, 각각의 목적에 가장 적합한 별개의 도구를 사용하고자 하는 내 성향 탓이겠지.

FF를 쓰면서 느끼는 가장 큰 불만은 신호대잡음비가 낮다는 거다. 즉, 의미 없는 정보가 너무 많다. 이는 내가 플릭커에 사진을 올리거나 딜리셔스에 북마크를 추가할 때, 이것이 FF로 발행된다는 사실을 내가 잊고 있기 때문이다. 구독자를 신경 쓰지 않기 때문에 정보를 거르지 않는다. 그 덕에 FF는 엄청난 데이터의 흐름을 쥐는 대신, 구독자에게 있어 정보 취득 채널로서의 가치는 그닥 높지 않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특정 유형의 피드를 내 정보 흐름(stream)에서 숨기는 기능이 있지만 그렇게까지 신경쓰고 싶지는 않다.

내게 FF는 동적인, 실시간 프로필이다. 내가 어떤 사람인지, 지금 무엇에 관심이 있는지 보려면 FF를 보라고 말해줄 것이다. (그래서 귀찮음을 무릅쓰고 이 블로그 사이드바에 FF 위젯을 단 것이지.) 그리곤 덧붙일 거다. "하지만 구독할 필요는 없어요." 나조차도 잘 들어가보지 않으니까 말예요. 내 모든 온라인 활동이 FF로 흘러가지만, 피드백이나 인터랙션은 거의 없어서죠. FF는 "Friend"와 "Feed"를 조합해서 페이스북(Facebook)과 흡사한 기능을 제공한다. 하지만 페이스북 대신 FF를 써야할 이유까지는 주지 못했다.

To be Continued......

여러분은 FF를 어떻게 쓰고 계세요? 어떤 사람들을 구독하세요? 점수를 준다면 발행자로서 몇 점, 구독자로서 몇 점을 주시겠어요?